💡통계 지표 가이드
리포트에서 표시되는 지표의 측정 기준 및 집계 방식을 안내합니다.
데이터 인정 기준
아래 2가지 모두 만족한 경우에 UTM 리포트와 에이스카운터 유입리포트에서 UTM항목으로 표시됩니다.
1) UTM으로 인정
에이스카운터 UTM 리포트에 표시되는 데이터는 수집된 URL에 필수 utm 값인 아래 3개 항목이 포함되고, 값이 있는 경우 입니다.
utm_source
utm_medium
utm_campaign
만약 파라미터가 하나라도포함되지 않거나, 값이 없는 경우는 UTM으로인정되지 않습니다.
(O)
https://abc.com?utm_source=naver&utm_medium=cpc&utm_campaign=2024_spring(X)
https://abc.com?utm_medium=cpc&utm_campaign=2024_spring(X)
https://abc.com?utm_source=naver&utm_medium=cpc&utm_campaign=
2) 유입데이터 우선순위
UTM으로 인정되었다 하더라도 에이스카운터 분석 우선순위에 따라 UTM이 아닌 다른 유입으로 집계될 수 있습니다.
에이스카운터 설정 코드 - 에이스카운터에서 광고코드 또는 배너 코드 등으로 유입을 설정하신 후 url에 해당 정보를 포함한 경우
자동추적 설정 - 네이버, 카카오, 구글 주요 매체에서 자동 추적 설정을 on 하신 경우
UTM - UTM 파라미터 정보가 포함된 경우
아래 예시는 에이스카운터 배너 광고 코드가 포함되어 배너광고로 유입 인정 되므로 UTM으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https://abc.com?utm_source=naver&utm_medium=cpc&utm_campaign=2024_spring&src=image&kw=120024
측정 기준
측정 기준은 데이터를 집계하는 기준입니다. 이 기준에 따라 데이터를 그룹화하고, 측정 항목을 집계합니다.
예를 들어 어제 방문한 남자의 구매건수를 보고 싶을 때 기준이 되는 어제, 남자는 측정 기준이며, 이 기준으로 집계하는 대상인 구매건수는 측정 항목 입니다.
측정 기준은 아래 표를 참고해주세요.
utm_source
URL에 붙은 UTM 파라미터 중, utm_source 파라미터의 값 입니다.
utm_medium
URL에 붙은 UTM 파라미터 중, utm_medium 파라미터의 값 입니다.
utm_campaign
URL에 붙은 UTM 파라미터 중, utm_campaign 파라미터의 값 입니다.
utm_term
URL에 붙은 UTM 파라미터 중, utm_term 파라미터의 값 입니다.
* 구글 Ads 를 사용하시는 경우 자동 태깅으로 인하여 해당 파라미터의 값이 id로 삽입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리포트에는 id(숫자)가 표시됩니다.
utm_content
URL에 붙은 UTM 파라미터 중, utm_content 파라미터의 값 입니다.
* 구글 Ads 를 사용하시는 경우 자동 태깅으로 인하여 해당 파라미터의 값이 id로 삽입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리포트에는 id(숫자)가 표시됩니다.
referrer
URL로 이동하기 이전에, 브라우저가 알고 있는 이전 페이지의 url 정보입니다. 정보가 없다면 직접 주소창으로 입력하였거나 북마크 등으로 이동한 케이스입니다.
랜딩 페이지
해당 URL이 수집된 페이지 입니다. 즉, URL로 이동하여 도착한 페이지의 정보입니다. 도메인 정보를 제외한 디렉토리(path)를 표시합니다.
날짜
데이터 조회기간을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 날짜 기준 집계를 변경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기준으로 집계 : 캘린더 기간의 전체 데이터를 나머지 측정 기준으로만 집계합니다. 즉, 날짜로 분류하지 않는 상태입니다.
시간/일간/월간/주간 기준으로 집계 : 데이터를 해당 기준으로 나누어 분류한 뒤 나머지 측정 기준으로 집계합니다.
일시 기준으로 집계 : 일간으로 나눈 뒤, 시간 기준으로 한번 더 나누고, 나머지 측정 기준으로 분류합니다.
시간과 일시 기준의 차이
시간으로 분류하면 00시부터 23시까지 24개의 기준이 생깁니다. 일시의 경우는 여기에 날짜 기준까지 더해진 상태입니다. 예를들어, 캘린더로 7일간을 선택했다면 시간 기준은 24개, 일시는 24x7=168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측정 항목
유입수
웹사이트로 처음 들어온 횟수를 의미합니다. 하나의 세션에서 최초로 방문한 페이지(랜딩 페이지)에 기록됩니다.
방문수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방문한 총 횟수를 의미합니다. 한 번의 방문은 보통 세션(session) 단위로 측정됩니다. 동일한 사용자가 일정 시간(보통 30분) 내에 여러 페이지를 이동하더라도 이는 하나의 방문으로 간주됩니다. 반대로 세션이 끝난 이후 다시 방문하는 경우, 방문수는 상승하게 됩니다.
반송수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들어와서 한 페이지만 보고 아무런 추가적인 상호작용 없이 이탈한 경우의 수를 의미합니다.
반송률
반송률 = 반송수 / 유입수 x 100 (%)
전환수
전환으로 설정하신 페이지에 방문한 횟수로, 에이스카운터 전환 페이지 설정이 필요합니다. 설정하는 방법은 여기에서 확인해주세요.
전환률
전환율 = 전환수 / 유입수 x 100 (%)
구매건수
사용자가 구매를 완료한 횟수입니다.
구매율
구매율 = 구매수 / 유입수 x 100 (%)
체류시간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머문 총 시간을 의미합니다. 측정 기준으로 분류되어 같은 기준으로 측정된 여러 사용자의 평균을 표시합니다.
매출액
집계 된 구매 건의 총 매출입니다.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