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Logo
에이스카운터 가이드CRM 버전 이용 가이드
에이스카운터
에이스카운터
  • 에이스카운터로 바로가기
  • 에이스카운터
    • 에이스카운터 알아보기
    • 에이스카운터 시작하기
    • 에이스카운터 호스팅 가입하기
  • Analytics
    • Analytics 설치 가이드
      • 첫 페이지에서 강제 이동하는 사이트
      • 클릭 이벤트(링크 클릭) 분석
      • 네이버페이 연동 가이드
      • 크로스 도메인 가이드
  • 필수 설정 가이드
    • 검색광고 분석하기
      • 네이버 검색광고
      • 카카오 키워드 광고
      • 구글 애즈 (Ads)
    • 부정클릭 분석하기
    • 디스플레이 광고 분석하기
    • 전환페이지 분석하기
    • 동적페이지 분석하기
    • 에이스카운터 분석 용어
      • #페이지뷰 #방문수
      • #유입수 #전환수
      • #쿠키 #세션
      • #반송수 #반송률
      • #직접유입
      • #내부유입
      • #FTP
      • #검색엔진(키워드광고제외) #검색어없음
      • #매체정보없음
      • #리퍼러 #파라미터 #쿼리
  • 에이스카운터 활용하기
    • KPI 리포트 기능과 이용방법
    • 유입 경로분석(상세)
    • SNS 유입 분석
    • 사이트를 점검하는 방법- 페이지 분석
    • 회원 분석이 중요한 이유
    • 시나리오 분석(전환 시나리오)
    • 유입 IP 66.249.*.* 에 대해 알아보기
    • 구매 필수 분석
  • 구버전 스크립트
    • 구 버전 스크립트 설치 가이드
Powered by GitBook
On this page
  • 리퍼러 Referer
  • 파라미터 Parameter
  • 쿼리 Query​
  1. 필수 설정 가이드
  2. 에이스카운터 분석 용어

#리퍼러 #파라미터 #쿼리

Last updated 11 months ago

리퍼러 Referer


1. <…을> <…에게> 알아보도록 하다, 조회하다

2. <서적 등을> 참조하게 하다

3. 지시하다, 나타내다, 주목시키다

referer의 영어사전 의미는 위와 같으며 웹 분석 시 사용하는 리퍼러(referer)는 "참조하다" 의미에서 유래하여 이용자가 사이트를 어떻게 방문했는지 알기 위해 수집하는 링크를 리퍼러라고 사용합니다.

아래 이미지를 통해 설명해 드리면 네이버에서 "에이스카운터"를 검색했더니 두 번째 화면처럼 네이버 검색 결과 창에 에이스카운터 사이트가 보였고, 해당 링크를 클릭하여 에이스카운터를 방문했습니다. 에이스카운터 입장에서 방문자를 나에게 보낸 페이지는 네이버 검색 결과 페이지이므로search.naver.com/search.naver​​ 가 참조 주소, 리퍼러가 되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리퍼러는 사이트 연결 링크가 있는 페이지(빨간 박스 URL)이며, 이 리퍼러를 유입출처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네이버에서 "에이스카운터"를 검색해서 방문하면 리퍼러가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로 시작하고

다음에서 검색해서 유입하면 https://search.daum.net/search로 시작하기 때문에 리퍼러를 판별하여 "네이버" 검색 유입인지 "다음" 검색 유입인지 판단합니다. 포털사이트가 아닌 다른 경로로 유입했을 경우에도 어떤 사이트에서 방문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

같은 네이버에서 유입하더라도,

1) 네이버 쇼핑에서 유입할 때(https://​search.shopping.naver.com​)와

2) 네이버 지도에서 유입할 때(https://map.naver.com​)의 패턴이 다르기 때문에

이 패턴을 아는 것이 유입 출처 분석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파라미터 Parameter


parameter: 매개변수 매개 : 둘 사이에서 양편의 관계를 맺어 줌 변수 : 어떤 상황의 가변적 요인

사람들이 검색하는 키워드는 다양한데 어떻게 키워드 단위 효율을 알 수 있을까요? 바로 파라미터를 분석하기 때문입니다. 네이버에서 "커피"를 검색하면 주소창이 아래와 같이 변경됩니다.

"홍차"를 검색하면 아래와 같이 주소창이 변경됩니다.

"query = " 뒤에 검색한 키워드가 들어가는 것 보이시나요? 네이버는 이용자가 검색한 키워드를 "query="에 넣어주고 있는데, 이 "XX = OO" 형식을 파라미터라 하고 (XX가 매개, OO가 변수) 해당 파라미터 패턴을 분석하여 여러 데이터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리퍼러에 있는 파라미터를 통해 유입 키워드를 알 수 있고, 이 키워드 단위로 유입수나 전환 등의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특히 광고를 집행할 때 어떤 광고가 효율이 높았는지 알기 위해서는 파라미터는 꼭 들어가야 합니다. 여러 사이트에 광고가 노출되는 경우 매체와 소재 정보를 파라미터가 알려주기 때문인데요. 에이스카운터에서 마케팅 별 링크 생성할 때의 파라미터를 예시로 보겠습니다.

빨간 텍스트인 "src="는 마케팅 채널을 구분하는 파라미터입니다. image는 배너광고, adwords는 구글 검색광고, email은 이메일 마케팅, viral은 바이럴 마케팅으로 세팅할 때 변수로 부여합니다.

쿼리 Query​


1. 문의, 의문 2. 물음표(아직 완료 확정되지 않았음을 나타냄) 3. 문의하다, 의문을 제기하다

위에서 네이버에서 검색 결과를 보여줄 때 검색한 키워드를 "query=" 파라미터에 삽입한 것을 알 수 있었는데요. 이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검색한 키워드를 "문의한 단어"로 해석하여, 쿼리란 이름의 매개를 넣은 것 같습니다. 그래서 마케터분들은 쿼리란 단어를 "키워드 조회"와 같은 뜻으로 접하셨을 텐데요.(키워드 조회 수 = 쿼리 수) 어떤 키워드가 검색창에 얼마나 문의 되었는지란 의미로 "쿼리수"를 사용기도 합니다. "쿼리"는 데이터를 직접 추출하시는 분들에게는 다른 의미로 쓰입니다. 원하는 데이터 값을 조회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추출 조건을 입력(=질문)하는 것을 "쿼리"라고 합니다. 예시로 2020년 6월 15일에 신규방문자가 사이트에서 몇 개를 구매했는지 조회하는 쿼리입니다.

해당 쿼리를 프로그램에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데이터가 조회됩니다.

그렇다면, 리퍼러가 없는 경우도 있을까요? 만약 주소창에 바로 을 넣어 방문했다면 방문자를 연결해 준 페이지가 없기 때문에 리퍼러가 없게 되고 이런 경우를 ""으로 분석합니다. '즐겨찾기(BOOKMARK)' 또한 위와 같은 이유로 리퍼러가 수집되지 않으므로,""으로 판단합니다.

방문자들은 모두 같은 주소( 방문하지만, 각 방문자가 어느 채널을 통해 방문했는지 파라미터로 알 수 있습니다. 뒤에 "kw="는 상세 구분 파라미터입니다. 같은 매체더라도 "네이버 5월 소재"라든지 " A 테스트 소재"인지 구분하기 위해 넣는 파라미터입니다. 파라미터는 한 번에 여러 개가 들어갈 수 있으며, 각 파라미터는 "&"로 구분합니다.

www.acecounter.com
직접 유입
직접 유입
www.acecounter.com)에